겨울철 자동차 타이어의 적절한 공기압 수치는 얼마일까 궁금하시죠? 겨울에는 공기를 더 넣어라 덜 넣어라 들었던 것 같기는 한데 헷갈리기도 하고 멀쩡한데 미리 교체해놔야 하나 걱정도 되죠. 이번에는 겨울철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 수치와 윈터 타이어 교체 시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 수치
중요한 정보부터 말씀드리자면 여름철보다 까다로운 적절한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수치는 준중형 또는 중형차는 30~35psi, RV나 SUV차량, 대형차는 35~45psi가 적정 공기압 수치라고 합니다. 여름철보다 5~10%정도 더 넣는 것이 적당하죠.
2. 타이어 경고등이 들어왔는데 교체해야 할까요?
타이어 공기압 연구결과에 따르면 외부 기온이 평균 10도씩 내려갈 때마다 타이어 공기압은 2.6psi정도 떨어진다고 하네요.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면서 급격한 외부온도 변화로 인해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올 수 있으니 급격히 추워지기 전에 미리 여름철보다 5~10% 넣어두거나 추워졌다면 출근길 또는 퇴근길에 타이어나 카센터에 들러 공기압 체크 및 충전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보통의 타이어 교체 주기는 약 55,000~60,000km라고는 하지만 가장 정확한 건 육안으로 마모 한계선을 자주 확인하여 체크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3. 왜 겨울철에는 윈터 타이어(스노우 타이어)가 좋은가요?
물론 겨울철에는 윈터타이어(스노우타이어)가 안전합니다. 겨울용 타이어는 매우 추운 날씨에 주행하기 위해 최적화 되어 있어 젖거나, 눈이 내리거나, 얼어있는 도로의 노면에서도 접지력을 극대화하기 때문이죠. 그 이유는 윈터 타이어는 보통의 타이어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더 유연하게 접지할 수 있는 고무로 제작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윈터 타이어는 타이어 옆면에 표식이 있습니다. ‘M+S’ 또는 ‘3PMSF’라는 문구가 적혀있는 타이어는 겨울용 타이어입니다.
4. 그럼 윈터 타이어를 1년 내내 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물론 가능은 합니다. 하지만 효율적이지 않아서 그렇죠. 겨울용으로 제작된 윈터타이어는 겨울 사용에 용이하도록 낮은 온도에서도 노면과의 접지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만든 타이어입니다. 그러다보니 여름철 뜨거운 도로에서 주행하게 된다면 더더욱 빠르게 마모되어 교체시기를 앞당기게 될 뿐입니다. 안되는 건 아니지만 굳이 권장하지 않는다는 거죠.
같이 보면 좋은 글
- 과실 100대0 교통사고 피해자일 때, 평균 합의금보다 많이 받는 팁과 주의할 점↗
- 목 디스크의 원인과 확실한 자가진단법으로 단계별 초기 증상 및 두통 알아보기↗
- 후유장해를 인정받기 위한 신청 절차와 필요 서류 진단서 발급 기준과 보상금 지급↗
당신을 위한 추천
겨울철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 수치는?
여름철보다 5~10% 높은 준중형 또는 중형차는 30~35psi, RV나 SUV차량, 대형차는 35~45psi가 적정 공기압 수치
갑자기 추워져서 타이어 경고등이 들어왔다면?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올 수 있으니 전문점에 들러 확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