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 수치가 안 맞으면 윈터타이어로 교체해야 할까?

겨울철 자동차 타이어의 적절한 공기압 수치는 얼마일까 궁금하시죠? 겨울에는 공기를 더 넣어라 덜 넣어라 들었던 것 같기는 한데 헷갈리기도 하고 멀쩡한데 미리 교체해놔야 하나 걱정도 되죠. 이번에는 겨울철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 수치와 윈터 타이어 교체 시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 수치가 안 맞으면 바로 교체해야 할까?

1. 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 수치

중요한 정보부터 말씀드리자면 여름철보다 까다로운 적절한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수치는 준중형 또는 중형차는 30~35psi, RV나 SUV차량, 대형차는 35~45psi가 적정 공기압 수치라고 합니다. 여름철보다 5~10%정도 더 넣는 것이 적당하죠.

2. 타이어 경고등이 들어왔는데 교체해야 할까요?

타이어 공기압 연구결과에 따르면 외부 기온이 평균 10도씩 내려갈 때마다 타이어 공기압은 2.6psi정도 떨어진다고 하네요.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면서 급격한 외부온도 변화로 인해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올 수 있으니 급격히 추워지기 전에 미리 여름철보다 5~10% 넣어두거나 추워졌다면 출근길 또는 퇴근길에 타이어나 카센터에 들러 공기압 체크 및 충전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보통의 타이어 교체 주기는 약 55,000~60,000km라고는 하지만 가장 정확한 건 육안으로 마모 한계선을 자주 확인하여 체크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3. 왜 겨울철에는 윈터 타이어(스노우 타이어)가 좋은가요?

물론 겨울철에는 윈터타이어(스노우타이어)가 안전합니다. 겨울용 타이어는 매우 추운 날씨에 주행하기 위해 최적화 되어 있어 젖거나, 눈이 내리거나, 얼어있는 도로의 노면에서도 접지력을 극대화하기 때문이죠. 그 이유는 윈터 타이어는 보통의 타이어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더 유연하게 접지할 수 있는 고무로 제작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윈터 타이어는 타이어 옆면에 표식이 있습니다. ‘M+S’ 또는 ‘3PMSF’라는 문구가 적혀있는 타이어는 겨울용 타이어입니다.

4. 그럼 윈터 타이어를 1년 내내 쓰면 되는 거 아닌가요?

물론 가능은 합니다. 하지만 효율적이지 않아서 그렇죠. 겨울용으로 제작된 윈터타이어는 겨울 사용에 용이하도록 낮은 온도에서도 노면과의 접지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만든 타이어입니다. 그러다보니 여름철 뜨거운 도로에서 주행하게 된다면 더더욱 빠르게 마모되어 교체시기를 앞당기게 될 뿐입니다. 안되는 건 아니지만 굳이 권장하지 않는다는 거죠.


같이 보면 좋은 글

당신을 위한 추천

겨울철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 수치는?

여름철보다 5~10% 높은 준중형 또는 중형차는 30~35psi, RV나 SUV차량, 대형차는 35~45psi가 적정 공기압 수치

갑자기 추워져서 타이어 경고등이 들어왔다면?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올 수 있으니 전문점에 들러 확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글의 내용이 도움 되셨나요?

이 글의 점수를 알려주세요.

평균 점수 4.9 / 5. 평가 수 : 33

아직 평가된 점수가 없습니다. 첫 번째로 이 글을 평가해주세요!

위로 스크롤